직장인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방법과 기준, 병원 찾기, 미수검 시 불이익까지 안내. 아래의 링크에서 빠르게 확인하세요!
1.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이용
1. 홈페이지 접속: 인터넷 검색창에 ‘국민건강보험’ 입력 후 공식 홈페이지 접속 2. 로그인: 공동인증서·간편인증 등 본인인증 3. 메뉴 선택: ‘방문자별 맞춤 메뉴’ 또는 ‘민원신청’ → ‘건강검진 대상 조회’ 4. 대상자 확인: 일반검진·구강검진·암검진 대상 여부 확인
2. 모바일 앱 'The건강보험' 이용
1. ‘The건강보험’ 앱 설치 및 로그인 2. ‘건강검진’ 메뉴 → ‘검진대상조회’ 선택 3. 본인 인증 후 대상자 여부 확인 가능
3. 건강검진 대상자 기준
- 지역가입자: 세대주 및 20세 이상 세대원, 출생연도 끝자리 해당 연도와 일치 시 - 피부양자: 20세 이상, 출생연도 끝자리 해당 연도와 일치 시 - 직장가입자: - 사무직: 2년에 1회(출생연도 끝자리 해당 연도와 일치 시) - 비사무직: 매년 1회 - 의료급여수급권자: 20~64세, 출생연도 끝자리 해당 연도와 일치 시 - 암검진: 위암, 간암, 대장암, 유방암, 자궁경부암, 폐암 등 연령·고위험군 기준 적용
4. 건강검진 대상 확인서 발급 및 병원 찾기
- 확인서 발급: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로그인 후 ‘검진대상 확인서 인쇄’ 기능 이용 - 병원 찾기: 홈페이지 ‘검진기관찾기’ 서비스로 거주지 주변 검진 병원 조회
5. 검진 미수검 시 불이익
정해진 기간 내 검진 미수검 또는 연기 미신청 시, 사업주와 근로자 모두에게 과태료 부과 가능
FAQ
Q. 직장인이 매년 건강검진을 받아야 하나요? A. 비사무직은 매년, 사무직은 2년에 한 번 출생연도 끝자리에 맞춰 받습니다.
마무리
직장인 건강검진 대상 여부는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또는 ‘The건강보험’ 앱에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미수검 시 과태료 부과 가능하니 기간 내 꼭 검진을 받으세요.